Python - lambda 사용
최근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정렬을 할 때 lambda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. 단순한 1차원의 iterable(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) 객체들은 sorted 혹은 sort 함수를 이용해서 정렬하면 되지만 2차원 이상의 객체들은 다양한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lambda를 활용하면 매우 편리하다. 리스트(list) 또는 튜플(tuple)의 경우 example = [[1, 2], [2, 4], [3, 5], [7, 1]] 과 같은 2차원 리스트가 존재할 때 첫 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정렬하고 싶으면 sorted(example, key=lambda x: x[0]) >>> [[1, 2], [2, 4], [3, 5], [7, 1]] 위와 같이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. 만약, 두 번째 원소를 기준으로..
2020. 12. 18.
[Algorithm] Programmers : 소수 만들기 by Python
[문제 바로가기]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77 📌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.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제한사항 nums에 들어있는 숫자의 개수는 3개 이상 50개 이하입니다. nums의 각 원소는 1 이상 1,000 이하의 자연수이며, 중복된 숫자가 들어있지 않습니다. 입출력 예 nums result [1, 2, 3, 4] 1 [1, 2, 7, 6, 4]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#1 [..
2020. 12. 15.